분류 전체보기 60

Package

Package Manager 패키지 매니저란 패키지를 다루는 작업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툴. 설치 업데이트 삭제 등과 의존성을 관리해준다. - 다른 개발자들이 작성한 코드를 쉽게 다운로드 받거나, 내가 작성한 코드를 배포하여 다른 사람들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 여러 개발자들이 만든 수많은 패키지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프로젝트를 더 빠르고 안정적으로 만들 수 있다.  Package란 ? 코드의 재상용성을 높이기 위해 독립적인 코드 조각을 “모듈”이라고 부른다. .npm이나 yarn 과 같은 패키지 매니저를 통해 업로드하여 다른 개발자들과 공유할 때, 이를 패키지라고 한다. (배포를 위한 코드의 묶음)  Dependency란 ?의존성, 많은 패키지들은 다른 패키지가 설치되어 ..

카테고리 없음 2024.05.11

IPv6

IPv6란 인터넷 프로토콜 스택 중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로서 버전 6 인터넷 프로토콜로 제정된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을 말한다.인터넷은 IPv4 프로토콜로 구축되어 왔으나 IPv4 프로토콜의 주소가 32비트라는 제한된 주소 공간 및 국가별로 할당된 주소가 거의 소진되고 있다는 한계점으로 인해 지속적인 인터넷 발전에 문제가 예상되어,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IPv6 프로토콜이 제안되었다. 실제로 IPv6 주소는 휴대폰 및 컴퓨터에 할당되어 적용되고 있다.  > IPv4 주소는 빠른 속도로 고갈되었으며, 인터넷에 접속된 컴퓨터는 기하급수적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인터넷의 주소 고갈과 네트워크 프래그멘테이션 문제를 해결하고 인터넷에 확장성과 데이터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IPv6가 제안되었다.

Web 2024.05.10

KPT 회고 - Cocoabutter

Keep + problem 작성 5분Keep은 현재 만족하고 있는 부분(Good), 계속해서 이어갔으면 하는 부분(Keep)을 자유롭게 작성한다. Problem은 불편(or 불만)하게 느끼는 부분,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 잠재적인 문제를 작성한다. 진행자 본인도 해당 시간 동안 똑같이 작성한다. (타임 타이머는 누구라도 고개를 들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게 중요하다)Keep김노을서로가 가진 정보를 나눌 수 있었다.새로운 기술을 익히고 적용하는데 적극적인 모습들.많은 회의와 피드백을 통해서 서로가 가진 것을 나눌 수 있었던 것 같다.깃허브를 적극적으로 사용했던 게 좋은 경험인 것 같다. 이걸 기반으로 다른 협업 툴을 사용하더라도 잘 적응하기 수월할 것 같다.AI를 통한 검색 브라우저를 활용해본 ..

카테고리 없음 2024.05.09

IP와 포트.

브라우저의 역할은 무엇인가 ? HTML을 읽어서 보여준다. 프로그램의 역할은 무엇인가 ? 해당 확장자로 작성된 파일을 읽어서 보여준다. 통신이란 ? 요청과 응답을 프로그램끼리 반복하는 것.  프로그램에서 요청과 응답을 위해 요청을 보낼 컴퓨터의 주소를 알아야 한다. > IP 주소 그 주소의 컴퓨터 안에는 무수하게 많은 프로그램, 어떻게 요청을 보낼 프로그램을 찾을까? > 포트  IP는 - 컴퓨터를 찾을 때 필요한 주소.- 컴퓨터 간의 네트워킹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규약. 포트는 - 컴퓨터가 각종 신호, 정보 등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통신 통로- 네트워크 활동의관문 같은 역할- 컴퓨터 안에서 프로그램을 찾기 위한 수단, 즉 각 프로세스가 위치한 방 번호- 16비트로 된 숫자

Web 2024.05.08

localStorage

웹 스토리지 객체인 locarStorage는 브라우저 내에 키-값 쌍을 저장할 수 있게 해준다. 이를 사용하면 페이지를 새로 고침하고 심지어 브라우저를 다시 실행해도 데이터가 사라지지 않고 남아있다. 로컬 스토리지는 해당 메서드와 프로퍼티를 제공한다.setitem(key, value) - 키- 값 쌍의 보관.getitem(key) - 키에 해당하는 값을 받아온다. removeitem(key) - 키와 해당 값을 삭제.clear() - 모든 것을 삭제.key(index) - 인덱스에 해당하는 키를 받아온다.length - 저장된 항목의 개수를 얻는다. setItem(key, value) – 키-값 쌍을 보관합니다.getItem(key) – 키에 해당하는 값을 받아옵니다.removeItem(key) – 키와..

Web 2024.05.07

Import와 export

Import와 export는 가져오기와 내보내기를 뜻한다. 모듈에 특수한 지시자로써 다른 모듈을 불러와 불러온 모듈에 있는 함수를 호출하는 것과 같은 기능을 공유할 수 있다.  클래스, 함수 등의 선언부 앞에 export 붙여서 내보내기:export [default] class/function/variable ...이름 없는 개체 내보내기:export {x [as y], ...}.다시 내보내기:export {x [as y], ...} from "module"export * from "module" (default export는 다시 내보내 지지 않음)export {default [as y]} from "module" (default export를 다시 내보냄)named export 가져오기:import ..

Web 2024.05.03

Semantic code

의미론적 코드. 코드의 의미와 목적을 명확하게 나타내는 코드를 말한다. 의미론적 코드는 브라우저가 해당 페이지를 명확히 해석하고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게 한다. 검색엔진이 크롤링을 통해 매일 전 세계 웹사이트의 정보를 수집하고 해석할 때 더 가치있는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게 하고 검색엔진 또한 효과적인 크롤링과 인덱스를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의미론적 코드는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데도 중요한 요소이다. 많은 사람들과 효과적인 협업 과정을 거쳐야 더 나은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자신만 알아볼 수 있는 코드가 아닌 가독성이 높은 코드를 만들어야 유지보수성이 높아지고 효과적인 협업을 이뤄낼 수 있다.

Web 2024.05.02

git 사용 중인 문법 정리

git init > 깃 초기세팅, 초기화 명령어git log > 깃 커밋의 히스토리를 조회하는 명령어git status > 깃의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 git diff > commit이나 branch 사이의 다른 점, 레포지토리와 워킹디렉토리 사이의 다른 점을 조회하는 명령어git add > 다음 커밋을 기록할 때 까지 변경분을 모아놓기 위하여 사용하는 명령어 git commit > 깃에 저장하는 명령어. 기록함으로써 코드의 변경, 삭제가 이루어지더라도 이전 버전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된다. git push > 로컬에 저장된 브랜치를 원격 저장소로 업데이트 할 때 사용되는 명령어. git branch > 현재 로컬에 저장된 브랜치 확인git branch -a > 로컬과 리모트에 저장된 브랜치 확인git s..

Web 2024.05.01

웹 브라우저에서 URL을 입력했을 때.

1. 웹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른다. 2. 웹 브라우저가 도메인의 IP 주소를 조회한다. (먼저 캐시를 찾고, 그 다음 DNS를 검색한다.)3. 웹 브라우저가 찾은 IP 주소를 기반으로 서버와의 TCP 연결을 시작한다.4. 웹 브라우저 HTTP 요청을 서버로 전송 (필요한 경우 HTTPS 보안 통신이 진행된다.)5. 웹 서버가 요청을 처리하고 응답을 다시 웹 브라우저로 전송한다.6. 웹 브라우저가 전송 받은 컨텐츠를 렌더링한다.

카테고리 없음 2024.04.30

모듈

개발하는 애플리케이션의 크기가 커지면 언젠간 파일을 여러 개로 분리해야 하는 시점이 옵니다. 이때 분리된 파일 각각을 '모듈(module)'이라고 부르는데, 모듈은 대개 클래스 하나 혹은 특정한 목적을 가진 복수의 함수로 구성된 라이브러리 하나로 구성됩니다.자바스크립트가 만들어진 지 얼마 안 되었을 때는 자바스크립트로 만든 스크립트의 크기도 작고 기능도 단순했기 때문에 자바스크립트는 긴 세월 동안 모듈 관련 표준 문법 없이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새로운 문법을 만들 필요가 없었던 것이죠.그런데 스크립트의 크기가 점차 커지고 기능도 복잡해지자 자바스크립트 커뮤니티는 특별한 라이브러리를 만들어 필요한 모듈을 언제든지 불러올 수 있게 해준다거나 코드를 모듈 단위로 구성해 주는 방법을 만드는 등 다양한 시도를 ..

Web 2024.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