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하기 위해 추가된 과정인 컴파일에 대해서 공부했습니다.
컴파일이란 ?
일반적으로, 소스 코드를 특정 플랫폼에서 실행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타입스크립트를 브라우저에서 실행하려면 '컴파일' 과정이 필요한데요,
브라우저는 아직까지 타입스크립트 코드를 처리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개발 과정에서 타입스크립트로 작성하지만
배포시에는 반드시 자바스크립트로 변환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컴파일러란 ?
타입스크립트 코드를 자바스크립트 코드로 변환할 때 필요한 도구를 '컴파일러'라고 합니다.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소스 코드 ->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로 변환하는 도구)
'컴파일러'는 코드 변환 과정에서 오류를 사전에 발견하기도 하고 코드의 최적화를 도와 전반적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간을 더 빠르게 만들기도 하는 도구입니다.
타입스크립트는
컴파일 언어이자 정적인 타입입니다. 브라우저에서의 실행을 위해 자바스크립트로 컴파일 되어야 하며
그 과정에서 타입 체크, 정적타입으로써 타입에 대해 명시를 하여 발생하는 오류를 사전에 줄일 수 있습니다.
타입스크립트에서 tsc(TypeScript 컴파일러) 명령어를 통하여 컴파일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컴파일 과정에 대한 모식도입니다.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연 예매 프로젝트 - ERD, API 명세서 (0) | 2024.06.28 |
---|---|
타입스크립트의 고급 타입 정리 (0) | 2024.06.28 |
동적 타입 언어와 정적 타입 언어 (0) | 2024.06.26 |
HTTP 메서드와 상태코드 (0) | 2024.06.24 |
HTTP 메서드가 가지는 의미는 ? (0) | 2024.06.21 |